2019년 4월 3일 수요일

Q5. 파일 위조 식별방법

5.  해시(hash) 값을 추출하여 원본 파일이 위조된 파일인지 아닌지 식별할수가 있다.

해시 함수(hash function)는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은 해시 값, 해시 코드, 해시 체크섬 또는 간단하게해시라고 한다.

해시 함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해시_함수

해시 - 나무위키

https://namu.wiki/w/해시

2016. 12. 12. - 근래에 나오는 언어들은 기본 라이브러리에 해시 함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굳이 구현할 필요없이 바로바로 해시 값을 추출해서 사용할 ...






  • 해시값 [hash value] 
    한경 경제용어사전 용어해설 > 사회과학
    복사된 디지털 증거의 동일성을 입증하기 위해 파일 특성을 축약한 암호같은 수치로 일반적으로 수사과정에서 '디지털 증거의 지문'으로 통한다.



SlavaSoft HashCalc - Hash, CRC, and HMAC Calculator

https://www.slavasoft.com/hashcalc/

이 페이지 번역하기
A fast and easy-to-use calculator that allows to compute message digests, checksums and HMACs for files, as well as for text and hex strings. It offers a choice of 13 of the most popular hash and checksum algorithms for calculations. Version: 2.02. File Size: 468KB. OS: Windows 95/98/Me/NT/2000/XP. Implemented using:.



Q4번 문제에서 압축해제된 트루크립트 파일의 해시값을 추출해 보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

Q9. 파일 흔적 지우기

9. 두 얼굴 - 칼은 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사람을 죽일수도 있다. 지금까지 공부했던 내용들을 복구가 되지 않도록 지우세요??? 영구적으로 파일 완전 삭제해주는 프로그램 7종 소개 modangs.tistory.com › IT...